4차 산업혁명, 대전이 선도한다

패스트 팔로워(fast–follower) → 퍼스트 무버(first-mover)로 전략 전환
기사입력 2016.12.23 03:26
댓글 0
  • 카카오 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 밴드로 보내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 플러스로 보내기
  • 기사내용 프린트
  • 기사내용 메일로 보내기
  • 기사 스크랩
  • 기사 내용 글자 크게
  • 기사 내용 글자 작게

untitled.png
 
대전광역시(시장 권선택)가 제4차 산업혁명의 거대한 흐름에 선제적 대응에 나섰다.

대전시는 22일 오후 2시부터 시청 세미나실에서 권선택 대전시장, 천영길 산업부 지역경제총괄과장, 과학경제분야 정책자문단 및 행복위원, 기업인 등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4차 산업혁명과 대전의 미래’라는 주제로 국책연구기관, 정부 출연연, 교수 등 이 분야의 역량 있는 전문가를 초청하여 토론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1부에서는 차두원 한국과학기술평가기획원(KISTEP) 연구위원이 ‘4차 산업혁명의 의미와 핵심가치’라는 주제 발표에 이어 서중해 한국개발연구원(KDI) 선임연구위원의 ‘지역산업정책 성과분석 및 발전’ 주제 발표를 통해 대전산업의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했다.

2부에서는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인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로봇(Robot), 바이오(Bio), 무인항공, 드론 등 분야별 전문가를 초청하여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한 대전의 산업발전 방향 및 전략에 대해 열띤 토론을 진행했다.

토론은 한동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SW콘텐츠 연구소장, 정종석 산업연구원(KIET) 연구위원, 이경미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전문위원, 권동수 KAIST 교수, 이홍원 한국생명공학연구원(KRIBB) 바이오인프라 총괄 본부장, 송재근 유콘시스템(주) 대표, 이석봉 ㈜대덕 넷 대표 등이 참석하여 활발한 토론이 진행됐다.

대전시가 이번 토론회를 개최하게 배경에는 대전이 대덕특구를 중심으로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할 수 있는 인적‧물적, 연구시설 및 R&D 기반 등 최적의 역량과 인프라*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 대덕특구는 1973년 조성 이후 40여년이 지나면서 비약적인 발전과 성장을 거듭해 연구기능이 집약된 특구로 석・박사 등 3만여 명, 26개소 정부 출연연, 1,500여개의 기업 등이 위치
구 분
인 력()
기 관(개소)
특허등록()
연구개발비(억원)
연구소기업(개소)
현 황
67,390*
(박사, 생산직 등)
1,608**
(출연연, 기업 등)
219,435
(국내외 포함)
72,559
(자체외부지원)
88
(2015)
       * 석・박사・학사 30,242명  ** 정부출연연 26개소, 기업 1,516개사 입주
       ・(출처) 대덕연구개발특구 자료, 2014년 기준

이에 따라, 대전시는 그동안 국가정책을 따라가는 추격자 (패스트 팔로워, fast-follower)로 역할을 수행했으나, 앞으로는 지역의 우수한 인적・물적 인프라 역량을 끌여 들여 선구자(퍼스트 무버, first-mover) 전략으로 전환하여 국가정책은 물론 대전과 충청권 광역경제권 사업을 아우르면서 선도해 나가는 마중물 역할을 수행하겠다는 계획을 가지고 있다.

또한, 대전시는 4차 산업혁명이라는 거대한 물결 속에서 미래먹거리 사업 발굴을 위해서는 지금이 가장 중요한 시기라고 판단하고  특히, 시는 이번 토론회에서 분야별 전문가들이 제시하고 논의한 과제와 지난 9월 발족하여 운영 중인 ‘미래먹거리 발굴 TF팀’에서 구상하고 검토 중인 과제를 종합하여 미래먹거리 핵심과제를 도출한다는 방침이며,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미래먹거리 아이템 발굴 사업비 1억 원을 이미 내년도 사업에 편성했다.

한편, 오늘 토론에 나선 차두원 박사는 “대전은 정부출연연 등 4차 산업혁명을 이끌어 갈 수 있는 가장 좋은 입지적 여건을 갖추고 있으며  기초기술이 강하기 때문에 대전의 역할이 중요하다”있다”라고 전제한 “어느 한 분야에 쏠림현상을 가서는 안 될 것”이라며 말했다.

서중해 박사는 “대전의 과학도시로써 지식기반 집적화가 매우 잘 갖춰져 있는 지역이지만 그동안 대전시가 제대로 활용하지 못했음”을 지적한 뒤 그러면서 “국내 및 해외 기업유치를 위해 구글 데이터센터나 랩(LAB) 등 유치를 위해 KAIST 등 지역 자원 잘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정종석 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4차 산업혁명은 산업‧기술‧업종(제조업과 서비스업) 경계가 없이 융복합을 이루는 것이며 대기업 보다는 중소‧벤처기업에 이끌어 갈 수 있을 것”말했다. 이와 관련 “대전은 지식기반 서비스업이 고도화 되어 있고 비중이 높은 도시로 4차 산업혁명을 이끌어 갈 가장 적합한 지역”이라고 강조했다.

권선택 대전시장은 “대덕특구를 중심으로 지역의 우수한 인적‧물적 역량과 지혜를 모아 4차 산업혁명의 중심도시로서의 마중물 역할을 수행하는 데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말한 뒤 토론자들에게 “4차 산업혁명을 위해 필요한 제도 개선사항 및 과학기술정책 관련 국책과제 등을 제안해 주시면 대선과 연계해 적극 반영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도안뉴스 & dohan.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회사소개 | 광고안내 | 제휴·광고문의 | 기사제보 | 정기구독신청 | 다이렉트결제 | 고객센터 | 저작권정책 | 회원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 RSStop